경제

미국 주택가격 상승과 재산세 상승율

leejacob70 2025. 4. 2. 15:25
반응형

미국 주택가격과 재산세 증가에 미치는 영향

  1. 재산세 산정 기준 변화 : 미국에서 재산세는 주택의 평가가치(assessed value)를 기준으로 계산됩니다. 주택가격이 상승하면 일반적으로 재산 평가액도 증가하게 되어 더 높은 재산세로 이어집니다.
  2. 세금 부담 증가 : 주택소유자들은 가격 상승으로 인한 "종이 위의 자산 증가"에도 불구하고 실제 현금으로 더 많은 재산세를 납부해야 합니다. 이는 특히 은퇴자나 고정 소득자에게 재정적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.
  3. 지역별 차이: 재산세 정책은 주(state)와 지방정부마다 다릅니다. 일부 지역에서는 재산세 상한제(tax caps)나 평가액 증가 제한(assessment caps)을 통해 급격한 세금 인상을 방지합니다.
  4. 지방정부 수입 증가: 주택가격 상승으로 인한 재산세 증가는 학교, 경찰, 소방서 등 지역 공공서비스에 자금을 제공하는 지방정부에 더 많은 세수를 가져다 줍니다.
  5. 이의제기 증가: 주택가격이 급등하면 재산세 평가액에 대한 이의제기(tax appeals)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. 주택소유자들은 자신의 재산이 과대평가되었다고 생각할 경우 평가액에 이의를 제기할 수 있습니다.

주택 시장이 계속 상승하는 환경에서는 재산세 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다양한 감면 프로그램이나 이연 옵션을 확인하는 것이 주택소유자들에게 중요합니다.

 

 

 

 

 

미국 주택가격과 재산세 상승률

1. 주택가격 상승률:

  • 최근 몇 년간 미국 전국 주택가격은 연평균 약 5-7% 상승했습니다
  •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2020-2022년에는 일부 지역에서 15-20%까지 급등했습니다
  • 2023년부터는 상승세가 다소 둔화되어 전국 평균 약 3-4% 수준으로 안정화되는 추세입니다

2. 재산세 상승률:

  • 주택가격 상승에 따라 재산세는 일반적으로 연평균 약 4% 상승했습니다
  • 그러나 많은 주에서는 재산세 상승을 제한하는 법률이 있어 주택가격 상승률보다 낮은 비율로 증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
  • 예를 들어 캘리포니아의 Proposition 13은 재산세 평가액 상승을 연간 2%로 제한합니다

3. 지역별 차이:

  • 텍사스, 뉴저지, 일리노이와 같은 재산세율이 높은 주에서는 주택가격 상승이 더 큰 세금 부담으로 이어집니다
  • 평균적으로 주택가격이 10% 상승할 경우, 재산세 제한이 없는 지역에서는 약 8-10%의 재산세 증가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
  • 재산세 제한이 있는 지역에서는 같은 10%의 주택가격 상승에도 재산세는 2-3%만 증가할 수 있습니다

많은 지방정부가 세수 확보를 위해 밀레이지율(millage rate)을 조정하기 때문에, 실제 재산세 증가율은 단순 주택가격 상승률과 정확히 비례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.